안녕하세요! 채니입니다! ꒰⍢꒱ ༘*
미국 최신 뷰티 트렌드 파악하기 좋은 기사를 발견해서 요약정리해서 공유합니다!
최신 미국 뷰티 트렌드 파악하고 수출 시장 정복하기! _ 2025-02-17 _ 출처: KOTRA
최신 미국 뷰티 트렌드 파악하고 수출 시장 정복하기!
2024년 대한민국의 화장품 수출 규모는 역대 최대인 100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미국 내 화장품 수입 시장에서도 점유율 1위(20%)를 기록했다. K-Beauty의 영향력은 계속
dream.kotra.or.kr
#K-beauty #미국수출 #뷰티 #화장품 #미국뷰티
K-beauty의 지속적인 성장
- 2024년 대한민국의 화장품 수출 규모가 역대 최대 수출액으로 100억 달러를 돌파
- 이는 2012년 처음 10억 달러를 넘긴 이후 지속적인 성장세를 기록하며 12년 만에 돌파한 수치로, 지난해 대비 20.6% 증가한 수치
- 한국은 2등인 프랑스를 제치고 미국 내 수입 화장품의 20%로 1등을 차지하는 결과를 달성
셀러브리티 뷰티의 지속되는 인기
- 셀러브리티 뷰티 브랜드 마켓은 지속적으로 가파르게 성장 中
- 2023년 기준 일반 뷰티 카테고리 제품 매출 11.1% 성장한 것에 반해, 셀럽 뷰티 브랜드의 매출 증가율은 57.8%로 높은 성장세
- 헤일리 비버의 로드(Rhode) _ 2022년 창립
- 설립된 지 2년 반 만에 2024년 수익 9000만 달러를 예상하며 인기몰이
- 립글로스를 부착해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판매해 연이은 품절 사태를 기록하며 트렌드를 주도
- 인증샷을 찍어 SNS에 업로드하는 트렌드를 만들어 자연스럽게 제품 바이럴 마케팅 효과 자아냄
로드의 립글로스 폰 케이스
- 로드 뷰티는 2024년 뷰티 트렌드 중 하나인 Clean Beauty를 구현할 수 있는 펩타이드 립 트리트먼트, 클렌저, 밀크 에센스 등의 스킨케어 제품에도 집중
- 특히 글레이징 밀크 아이템은 미국의 대표적 뷰티 매거진 Allure's 2024 Best of Beauty Awards의 위너 아이템으로 선정
- 대부분의 인기 셀럽 뷰티 브랜드가 색조 카테고리인 것에 반해, 로드 뷰티는 기초 스킨케어에도 집중해 브랜드가 가진 고유의 컬러로 새로운 마켓 영역을 확장
- 리한나 & LVMH의 펜티 뷰티(Fenty Beauty) _ 2017년 창립
- 2024년에도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며, 셀럽 뷰티 브랜드 중 가장 높은 매출인 6억240만 달러를 기록
- 펜티 뷰티는 파운데이션은 50가지의 다양한 컬러로 다양한 피부 톤을 가진 고객 사로잡아
- 펜티 뷰티의 대표적인 아이템으로 풍부한 광택과 촉촉함을 통해 매력적인 입술을 표현할 수 있는 글로스 밤이 베스트셀러 중 하나
-
펜티뷰티의 베스트 셀러 아이템 파운데이션과 립글로스 밤
- 셀레나 고메즈의 레어 뷰티(Rare Beauty) _ 2019년 창립
- 단순한 메이크업 브랜드를 넘어 개인의 아름다움을 존중하는 철학을 바탕으로 Body Positive, Mental Health Care을 중요시 생각하며 인기 있는 브랜드로 성장
- 레어 뷰티의 모든 제품 판매액의 1%는 레어 임팩트 펀드에 기부되며 이를 통해 청소년 정신 건강 서비스와 교육을 지원하는 다양한 비영리 단체를 후원
- 2024년 가장 인기 많은 제품은 소프트 핀치 리퀴드 블러시로, 다양한 피부 톤을 고려해 여러 가지 색상이 많으며 부드럽고 가벼우면서도 발색력이 좋아 인기
소프트 핀치 리퀴드 블러시
- 2025년 셀럽 뷰티 전망
- 2025년에도 셀럽 뷰티 브랜드의 성장은 더욱 기대돼
- 2025년 베리 컬러 트렌드에 맞추어 다양한 메이크업 스타일이 펼쳐질 전망
Plum Berry Palette (출처: 이미지 링크) - 올해도 립 라이너의 인기가 더 본격적으로 대두될 것으로 보이며, 립글로스+립 라이너 레이어링 트렌드 주목
- 셀럽 뷰티의 브랜드 대부분은 폭넓은 컬러 옵션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
- 셀럽뷰티는 단순히 셀럽의 인기만으로 유지되는 것이 아닌 대중이 공감하고 지지할 수 있는 가치를 추구하며, 우수한 제품력과 감각적인 패키지, 그리고 접근성 좋은 가격대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이 셀럽의 소셜미디어 마케팅과 조화를 이뤄 소비자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으며 2025년에도 성장세 지속 전망
젠지(Gen Z)의 선택이 곧 트렌드
- e.l.f. Cosmetics _ 2004년 창립
- 젠지 세대(1990년 중 후반 2010년 초반에 태어난 세대)의 선택에 힘입어 2024년 기하급수적인 성장
- 미국 기반 투자은행 Piper Sandler는 미래 경제를 주도할 세대의 소비성향을 분석하는 서베이를 매년 봄과 가을 진행하고 있는데, 2024년 봄, 가을 서베이에서 미국 10대들이 가장 좋아하는 화장품 1위(35%)로 엘프가 선정
- 엘프는 평균 6달러의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는데, 화장품의 품질은 고가 브랜드의 제품의 품질과 비슷해 인기
- 2024년 트렌드 중 하나인 듀프(Dupe) 트렌드를 정확하게 보여주는 브랜드
- 듀프 트렌드란? "duplicate(복제하다)"에서 유래한 단어로, 고가의 유명 제품과 유사한 퀄리티의 저렴한 제품
- 젠지들에게 인기 있는 브랜드와 협업하며, 트렌디한 마케팅 진행
- 2021년에는 젊은 층이 좋아하는 멕시칸 프랜차이즈 브랜드 치폴레(Chipotle)와 협업해 치폴레 메뉴 컬러에서 영감받은 아이섀도와 팔레트 메이크업 제품을 출시해 빠르게 품절을 자아내
- 2024년 9월에는 글로벌 유명 데이팅 앱 중 하나인 틴더(Tinder)와 콜라보해 화제, ‘Put Your e.l.f. Out There(엘프와 함께 자신감 있게 데이트를 시작해 봐!)’라는 슬로건 하에 진행
-
엘프의 치폴레 컬래버레이션 제품(좌)과 틴더 컬래버레이션 제품(우)
- 쿠키와 로션의 만남? 크럼블(Crumbl) X 도브(Dove)
- 크럼블(Crumbl)은 미국에서 가장 핫한 쿠키 중 하나로, 젠지들의 많은 사랑을 받아
- 크럼블을 상징하는 핑크색 박스에 판매되는 이 쿠키는 매주 고정되는 한두 가지 스테디셀러 제품과 함께 매주 새로운 맛의 쿠키를 1주일 간격으로 선보여
- 따라서 1주일이 지나면 먹어볼 수 없다는 희소성에 매주 새로운 쿠키를 리뷰하는 틱톡커들을 비롯해 긴 줄을 서서 제품을 구매하는 10대들의 인기
- 2024년 12월, 크럼블(Crumbl)과 바디용품 브랜드로 대중들에게 친숙한 도브(Dove)의 콜라보 소식을 전해
- 크럼블 쿠키의 딸기 크럼블 케이크, 레몬 글레이즈, 닐라 빈 컵케이크, 알록달록 스프링클 케이크향을 담은 도브의 바디 워시, 바디 스크럽, 핸드워시, 데오드란트 제품을 선보여
크럼블 쿠키와 패키징, 신제품 크럼블 도브 협업 제품
- 뜨겁게 향기로운 미국 향수 시장
- 마켓 리서치 조사 기관인 서카나(Circana)에 따르면, 미국에서 1억 개의 향수 제품이 판매
- 향수 시장의 성장세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로 꾸준히 장하고 있으며, 남성 향수 시장도 예외는 아니다
- LVMH 공식 발표에 따르면, 향수 시장은 2024년 강한 성장세 보여. 남성 향수 디올 소바쥬(Dior Sauvage)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판매된 향수로서 해당 마켓의 성장을 주도
디올 소바쥬 오 드 뚜왈렛 향수 - 과거 여성 중심이었던 향수 시장이 이제는 남성 시장에서도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
- 향수 시장에서 각광받는 것은 럭셔리 향수(Chanel, YSL, Le Labo, Jo Malone, Tom Ford 등 프레스티지 브랜드). 이는 팬데믹을 거치며 미국 소비자들은 저축을 늘렸고, 이를 토대로 소비를 즐기려는 경향으로 보인다.
- 특히 명품 가방, 옷, 지갑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금액 대인 명품 브랜드의 향수를 사용함으로써 명품을 향유하는 기분을 자아내
- 2025년에도 남성 향수 시장과 프레스티지 향수 시장의 성장세가 기대된다.
- 향수 시장의 또 다른 특징은 바로 트윈세대(tween, 8~12세 사이 연령대) 소비자층과 젠지 소비자층의 성장
- 파이퍼 샌들러의 2024년 가을 서베이에 따르면, 10대 향수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YoY 25% 성장
- 10대들이 가장 좋아하는 향수 브랜드로서는 배스 앤 바디 웍스(Bath & Body Works) 그다음으로는 솔 데 자이네루(Sol de Janeiro)가 선정
- 한국에도 론칭한 솔 데 자이네루의 경우 향수가 아닌 바디 퍼퓸 미스트 제품으로 전신에 사용 가능하고 향수보다 향의 지속력이 적은 편
- 젊은 세대들에게 향수는 단순한 향이 아닌 자기표현의 또 다른 요소, 유명 브랜드의 향수를 선호하는 동시에 자신들이 좋아하는 셀러브리티가 만든 향수를 사용하며 자신들의 개성과 취향을 드러내기도
- 사브리나 카펜터(Sabrina Carpenter), 빌리 아일리시 (Bille Eilish), 패리스 힐튼(Paris Hilton), 아리아나 그란데(Ariana Grande) 등 셀러브리티가 만든 향수 브랜드의 인기도 지속
- 2024년 연말, 2025년 연초에는 새로운 향수 론칭 소식으로 가득.
- 2024년 12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향수 ‘파이트 파이트 파이트(Fight Fight Fight)’를 출시하며 힘과 권련, 승리를 상징하는 향수
- 2025년 2월, 빌리 아일리시는 4번째 향수 ‘Your Turn’을 출시
- 2025년 댄싱 위드 더 스타즈의 심사위원인 아서 구룬리안(Arthur Gourounlian)도 첫 번째 향수인 ‘THE AG by Arthur Gourounlian’을 출시할 예정
- 소비자들 역시 자신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향수를 사용하고, 여러 가지 향수의 향을 레이어링 해 나만의 향을 만드는 등 나를 표현하기 위한 스타일링은 점차 다양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전 세계 향수시장을 리드하는 미국 시장이 올 한 해는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기대
시사점
미국 뷰티 시장은 남성 소비자와 트윈세대까지 고객층을 확장하며, 개별 취향과 가치관을 반영한 차별화된 브랜드 전략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브랜드들은 탄탄한 스토리와 철학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셀럽 뷰티도 단순한 유명세를 넘어 창립자의 신념을 반영한 브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예를 들어, 제시카 알바의 ‘어니스트 뷰티’는 친환경적이고 윤리적인 생산 방식을 강조하며 성공적으로 확장했다. 또한, 글로벌 유통 바이어와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에 따르면, 2024년 미국 시장에서는 스킨케어가 최우선이며 색조, 향수, 헤어 카테고리가 주목받을 전망이며, K-뷰티도 차별화된 스토리와 강점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뷰티 & 트렌드 뉴스룸 > 해외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TRA 뉴스로 알아보는 미니소(MINISO)의 성장 비결 (2) | 2025.02.18 |
---|